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2005년 용산~덕소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경의선과 중앙선이 직결 운행하며 형성된 수도권 전철 노선이다. 문산에서 지평, 서울역까지 운행하며,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구간을 지난다. 2024년 8월 9일부터 임진강~도라산 구간 운행이 재개될 예정이다. 급행열차는 출퇴근 시간 및 낮 시간대에 운행하며,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321000호대, 331000호대, 381000호대 전동차가 투입된다. 2025년에는 화전~수색 간 향동에 정거장이 추가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는 경의·중앙선에서 운행되는 전동차로,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차체, 비상탈출용 사다리, 넓은 운전실 창문, LCD 모니터, 컬러 디스플레이, VVVF-IGBT 제어 방식 등의 특징을 가지며 문산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운행된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문산차량사업소
문산차량사업소는 한국철도공사의 차량기지로, 수도권 전철 노선 전동차의 관리 및 정비, 특히 321000호대 전동차의 중정비를 담당하며, 331000호대, 319000호대(319x05F 편성), 381000호대(381x01F~381x04F 편성), 311000호대·312000호대, 210000호대(ITX-새마을) 등의 차량 정비 및 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문산역 인근에 위치한다. - 197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은 경원선, 중앙선을 이용하여 용산에서 용문 구간을 운행했던 수도권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분리되어 독립 운행하다가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되면서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되었다. - 197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오송선
오송선은 세종시 교통 편의 증진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건설된 16.7km의 철도 노선으로, 현재 SRT 고속열차가 오송역과 서창역을 잇는 단선으로 운영되며, 향후 일반 철도 노선 증설이 검토 중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 - 무궁화호
무궁화호는 대한민국의 여객열차로, 1983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와 통일호의 중간 등급으로 장거리, 지방 노선의 역할을 해 왔으며, 2004년 이후 지방 노선의 주력 열차가 되었으나, 현재는 노후화된 차량과 ITX-마음의 등장으로 운행 구간과 정차역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운행 계통 - ITX-새마을
ITX-새마을은 2014년 5월 1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로,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중앙선 등 다양한 노선에서 운행되며, 2013년에 총 23편성이 도입되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노선 이름 | 경의·중앙선 |
원어 이름 | 경의·중앙선(京義·中央線) |
로마자 표기 | Gyeongui-Jungang-seon |
![]() | |
노선 종류 | 광역철도 |
운영 체계 | 수도권 전철 |
노선 상태 | 운영 중 |
개통일 | 2014년 12월 27일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차량 기지 | 문산 차량사업소 용문 차량사업소 |
사용 차량 | 한국철도공사 321000호대 전동차 (21편성)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 (27편성)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 |
노선 정보 | |
노선 길이 | 134 km |
영업 거리 | 본선 132.2km, 지선 14.5km |
궤간 | 1,435 mm |
선로 수 | 2선 (문산–능곡, 가좌–지평, 가좌–서울역) 4선 (능곡–가좌) |
전철화 방식 | 교류 25 kV 60 Hz |
신호 방식 | ATS |
최대 운행 속도 | ATS 구간 110km/h |
노선 색상 | ● |
노선 경로 | |
기점 | 문산역 (대부분 열차) 또는 임진강역 (일부 열차, 한 열차는 도라산역까지 운행) |
종점 | 용문역 (대부분 열차) 또는 지평역 또는 서울역 (일부 열차) |
역 수 | 57 |
경유 노선 |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
연혁 | |
주요 개통일 | 1978년 12월 9일 (경원선 용산~청량리) 2005년 12월 16일 (중앙선 청량리~팔당) 2007년 12월 27일 (중앙선 팔당~국수) 2008년 12월 29일 (중앙선 국수~지평) 2009년 7월 1일 (경의선 서울~문산) 2012년 12월 15일 (용산선 가좌~공덕) 2014년 12월 27일 (용산선 공덕~용산 및 직결 운행 개시) 2020년 3월 28일 (경의선 문산~임진강) 2021년 12월 11일 (경의선 임진강~도라산) |
2. 연혁
2005년 12월 16일: 용산~덕소 구간이 '''용산-덕소선'''으로 정식 개통되었다.
2007년 12월 27일: 덕소~팔당 구간이 연장되었고, 용산-덕소선이 '''중앙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8년 12월 29일: 팔당~구곡 구간이 연장되었다.
2009년 7월 1일: 문산~디지털미디어시티 구간이 '''경의선'''으로 정식 개통되었고, 서울역으로 이어지는 지선도 함께 개통되었다.
2009년 12월 23일: 구곡~용문 구간이 연장되었고, 중앙선에 신원역이 신설되었다.
2010년 12월 21일: 중앙선에 상봉역과 오빈역이 신설되었다.
2012년 12월 15일: 경의선 본선 디지털미디어시티~공덕 구간이 연장되었다.
2014년 10월 25일: 경의선에 강매역이 신설되었다.
2014년 12월 27일: 용산선 공덕~용산 구간이 연장되면서,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하나의 운행 계통으로 통폐합되어 상호 직결 운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단, 야당역과 효창공원앞역은 제외) 이로써 현재의 '''경의·중앙선'''이 형성되었다.
2015년 10월 31일: 야당역이 개통되었다.
2016년 4월 30일: 효창공원앞역이 개통되었다.
2016년 5월 16일~7월 15일: 서울역 북부 선로개량공사로 인해 서울역 착발 열차가 하루 왕복 12회(평일 출근시간대 한정)를 제외하고 신촌역으로 운행 구간이 단축되었다.
2017년 1월 21일: 중앙선 용문~지평 구간이 연장되었다.
2017년 11월 24일~11월 27일: 경의선 서울역 역사 이전으로 영업이 일시 중단되었고, 신촌역으로 운행 구간이 단축되었다.
2017년 11월 28일: 서울역 승강장이 구역사(문화역서울 284)로 이전해 영업이 재개되었다.
2020년 3월 28일: 문산~임진강 구간 셔틀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2][3]
2021년 1월 5일: 급행 운행이 변경되어, 경의선 구간 모든 급행 열차가 야당역과 탄현역에 정차하고, 본선 급행 열차는 운정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2021년 12월 11일: 임진강~도라산 구간 셔틀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고, 경의선 전체 구간에서 "통근열차" 서비스가 대체되었다.[4]
2022년 2월 12일: 임진강~도라산 구간 운행이 중지되었다.
2022년 12월 17일: 운천역이 개통되었다.[5]
2023년 11월 21일: 화전역이 한국항공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2024년 8월 9일: 임진강~도라산 구간 운행이 재개될 예정이다.
2. 1. 경의선 구간
2009년 7월 1일: 문산~디지털미디어시티 구간이 '''경의선'''으로 정식 개통되었고, 서울역으로 이어지는 지선도 함께 개통되었다.[2][3]2012년 12월 15일: 경의선 본선 디지털미디어시티~공덕 구간이 연장되었다.
2014년 10월 25일: 경의선에 강매역이 신설되었다.
2014년 12월 27일: 용산선 공덕~용산 구간이 연장되면서,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하나의 운행 계통으로 통폐합되어 상호 직결 운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단, 야당역과 효창공원앞역은 제외) 이로써 현재의 '''경의·중앙선'''이 형성되었다.
2015년 10월 31일: 야당역이 개통되었다.
2016년 4월 30일: 효창공원앞역이 개통되었다.
2016년 5월 16일~7월 15일: 서울역 북부 선로개량공사로 인해 서울역 착발 열차가 하루 왕복 12회(평일 출근시간대 한정)를 제외하고 신촌역으로 운행 구간이 단축되었다.
2017년 11월 24일~11월 27일: 경의선 서울역 역사 이전으로 영업이 일시중단되어 신촌역으로 운행 구간이 단축되었다.
2017년 11월 28일: 서울역 승강장이 구역사(문화역서울 284)로 이전해 영업이 재개되었다.
2020년 3월 28일: 문산~임진강 구간이 개통되었다.[4]
2021년 1월 5일: 급행 운행이 변경되어, 경의선 구간 모든 급행 열차가 야당역과 탄현역에 정차하고, 본선 급행 열차는 운정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2021년 12월 11일: 임진강~도라산 구간이 개통되어, 경의선 전체 구간에서 "통근열차" 서비스가 대체되었다.
2022년 2월 12일: 임진강~도라산 구간 운행이 중지되었다.
2022년 12월 17일: 운천역이 개통되었다.[5]
2023년 11월 21일: 화전역이 한국항공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2024년 8월 9일: 임진강~도라산 구간 운행이 재개될 예정이다.
2. 2. 중앙선 구간
2005년 12월 16일 : 용산~덕소 구간이 '''용산-덕소선'''으로 정식 개통되었다.2007년 12월 27일 : 덕소~팔당 구간이 연장되면서, 용산-덕소선이 '''중앙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8년 12월 29일 : 팔당~구곡 구간이 연장되었다.
2009년 12월 23일 : 구곡~용문 구간이 연장되고, 중앙선에 신원역이 신설되었다.
2010년 12월 21일 : 중앙선에 상봉역과 오빈역이 신설되었다.
2014년 12월 27일: 용산선 공덕~용산 구간 개통과 함께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하나의 운행 계통으로 통폐합되어 상호 직결 운행이 가능하게 되었다.(이때는 야당역과 효창공원앞역은 제외되었다.)
2017년 1월 21일: 중앙선 용문~지평 구간이 개통되었다.
2. 3. 기타
- 2014년 12월 27일: 용산선 공덕~용산 구간 개통과 함께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하나의 운행 계통으로 통폐합되어 상호 직결 운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야당역과 효창공원앞역 제외)
- 2015년 10월 31일: 야당역 개통
- 2016년 4월 30일: 효창공원앞역 개통
- 2016년 5월 16일~7월 15일: 서울역 북부 선로개량공사로 인해 서울역 착발 열차가 하루 왕복 12회(평일 출근시간대 한정)를 제외하고 신촌역으로 운행 구간 단축
- 2017년 1월 21일: 중앙선 용문~지평 구간 개통
- 2017년 11월 24일~11월 27일: 경의선 서울역 역사 이전으로 영업 일시중단, 신촌역으로 운행 구간 단축
- 2017년 11월 28일: 서울역 승강장 구역사(문화역서울 284)로 이전해 영업 재개
- 2020년 3월 28일: 문산~임진강 구간 개통[2][3]
- 2021년 12월 11일: 임진강~도라산 구간 개통[4]
- 2022년 2월 12일: 임진강~도라산 구간 운행 중지.
- 2022년 12월 17일: 운천역 개통[5]
- 2023년 11월 21일: 화전역이 한국항공대역으로 역명 변경
- 2024년 8월 9일: 임진강~도라산 구간 운행 재개.
3. 노선 특징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등 여러 노선을 공유하는 광역 철도 노선이다. 본선은 문산역에서 지평역까지 이어지며, 서울역으로 가는 지선이 있다.
경의선 구간은 2009년 7월 1일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서울역 구간 복복선화, 화전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구간 전철화 및 복복선화, 릉곡역 - 화전역 구간 전철화 및 복선화, 문산역 - 릉곡역 구간이 전철화되었다.[8] 2012년 12월 15일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가좌역 구간 복복선화(용산선 선로 증설), 가좌역 - 공덕역 구간 전철화, 복선화 및 영업 재개,[8] 2014년 10월 25일 강매역 재개업(전철선 개업 시 폐지), 2014년 12월 27일 공덕역 - 용산역 구간 전철화, 복선화 및 영업 재개,[8] 2015년 10월 31일 야당역 신설, 2016년 4월 30일 효창공원앞역(구 효창역) 이전 개통이 이루어졌다.[8] 2020년 3월 28일 문산역 - 임진강역 구간, 2021년 12월 11일 임진강역 - 도라산역 구간 전철화, 2022년 12월 17일 운천역 전철 정차가 시행되었다.
경원선 구간은 1978년 12월 9일 용산역 - 청량리역 구간 전철화 및 복선화, 2005년 12월 16일 운행 형태 변경으로 수도권 전철 중앙선(현 경의·중앙선)으로 분리되었다.[8]
중앙선 구간은 2005년 12월 16일 청량리역 - 덕소역 구간, 2007년 12월 27일 덕소역 - 팔당역, 2008년 12월 29일 팔당역 - 국수역, 2009년 12월 23일 국수역 - 용문역 구간이 순차적으로 복선화되었다.[8] 2010년 12월 21일 상봉역, 오빈역 신설, 상봉역 - 망우역 구간 복복선화(경춘선 선로 증설), 2017년 1월 21일 용문역 - 지평역 구간 전철 운행이 이루어졌다.
민간인출입통제구역 내 도라산역 운행 셔틀 열차는 2022년 2월 12일 운행 중지, 2024년 8월 9일부터 매달 둘째 주 금요일 매달 1회 운행이 재개되었다.
3. 1. 운행 계통
2014년 12월 27일 용산선 공덕~용산 구간이 개통되면서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하나의 운행 계통으로 통합되어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야당역과 효창공원앞역 제외)[8] 2015년 10월 31일에는 야당역이, 2016년 4월 30일에는 효창공원앞역이 개통되었다.기본적으로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을 경유하며, 배차 간격은 덕소행 9~15분, 용문행은 출퇴근 시간 9~10분, 평상시 20~30분 정도이다. 평일 출근 시간대에는 대부분의 열차가 전 구간을 운행하지만, 나머지 시간대에는 문산, 덕소, 팔당, 용문행 등으로 운행된다. 지평행은 평일에는 하루 편도 6회, 왕복 12회 운행되며, 주말 및 공휴일에는 하루 편도 5회, 왕복 10회 운행된다.
중간 종착역으로는 일산, 대곡, 능곡, 수색, 용산, 청량리, 덕소, 팔당 등이 있다.[8] 당초 양방향 상시 급행 운행 계획이 있었으나, 6량화 무산과 8량 편성 부족 등의 이유로 실현되지 못했다. 현재는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한해 기존에 운행되던 급행을 연장 운행하고 있다.
주요 운행 계통
구분 | 주요 구간 | 비고 |
---|---|---|
경의·중앙선 본선 | 문산-용문 | 대부분의 열차가 이 구간을 운행 |
경의선 급행 | 문산-(급행)-용산-전역정차-덕소/팔당/용문 | 출퇴근 시간대 한정 운행, 운정역 정차 여부 유동적 |
중앙선 급행 | 문산/일산/수색-전역정차-용산-(급행)-용문 | 출퇴근 시간대 한정 운행 |
경의선 지선 | 문산-서울 | 일부 시간대 급행 운행 |
셔틀 전철 | 문산-임진강, 임진강-도라산 |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투입, 도라산행은 주말 한정 운행 및 별도 요금 적용 |
급행 정차역
- 경의선 급행: 문산 - 금촌 - 금릉 - 운정 - 탄현 - 일산 - 백마 - 대곡 - 행신 - 디지털미디어시티 - 홍대입구 - 공덕 - 용산 이후 경원선, 중앙선 구간은 각역 정차
- 중앙선 급행: 경의선, 용산선 구간은 각역 정차 - 용산 - 이촌 - 옥수 - 왕십리 - 청량리 - 회기 - 상봉 - 구리 - 도농 - 덕소 - 도심 - 양수 - 양평 - 용문
경의선 통근열차 시절부터 운행해 온 문산-서울 간 열차는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 이후에도 유지되고 있다. 경의중앙선 개통 후 몇 차례 개편을 거쳐, 평일 낮 시간대(12시~오후 4시)에는 전 편성이 급행으로 전환되어 운행된다. 주말과 공휴일에는 첫차/막차를 제외하고 대부분 대곡 착발로 운행하며, 4량 9편성이 운행된다.
문산역과 임진강역을 반복 운행하는 셔틀 전철은 평일 2회, 주말 4회 운행되며, 울산광역시 울주군 울산차량사업소로 이관될 때까지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 4량 편성이 투입된다.
2021년 12월 11일부터는 임진강-도라산 구간 셔틀 전철이 주말 왕복 2회, 편도 1회 운행되었으나, 2022년 2월 12일부터 운행이 중지되었다. 이 구간은 민간인출입통제구역으로, 군사경찰의 신분증 검문 절차를 거쳐야 이용할 수 있었으며, 수도권 환승 요금제가 적용되지 않았다. 2024년 8월 9일부터 매달 둘째 주 금요일 매달 1회 운행이 재개되었다.
3. 2. 급행 열차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등을 경유하는 급행 열차는 덕소행 9~15분, 용문행은 출퇴근 시간 9~10분, 평상시 20~30분 간격으로 배차된다. 평일 출근 시간대에는 대부분 열차가 전 구간을 운행하며, 나머지 시간대에는 문산행, 덕소행, 팔당행, 용문행 등으로 운행된다. 지평행은 평일 하루 편도 6회(왕복 12회), 주말 및 공휴일에는 하루 편도 5회(왕복 10회) 운행된다.[8]일산행, 대곡행, 능곡행, 수색행, 용산행, 청량리행, 덕소행, 팔당행 등 중간 시종착 열차도 운행된다.[8] 당초 양방향 상시 급행 운행 계획이 있었으나, 6량화 무산과 8량 편성 부족으로 실현되지 못했다. 이에 따라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한해 기존 급행을 연장 운행하며, 주말 용산~양평 간 운행되던 자전거열차는 폐지되어 혼용 운행된다.
출근 시간대 상행 2회, 하행 3회, 퇴근 시간대 상행 2회, 하행 1회 운행한다. 운행 환경에 따라 덕소급행과 팔당급행으로 나뉘며, 정차역은 수도권 전철 경의선 시절과 동일하다. 운정역은 운행 시각에 따라 정차 여부가 다르며, 출근 시간대 하행 3회와 퇴근 시간대 상행 1회 정차한다.
수도권 전철 중앙선 시절 운행되던 급행열차는 용문급행으로 연장 운행되며, 출근 시간대 상행 2회, 퇴근 시간대 하행 2회 운행된다. 상행은 수색역까지만 운행하고, 하행은 문산역에서 출발한다.
한국철도공사(Korail)는 경의·중앙선에서 다음과 같은 지역 급행열차 서비스를 운영한다.
- 경의선 서울역 지선 경유 급행: 문산역-가좌역 구간 급행 운행, 이후 서울역까지 일반 열차 운행.
- 용산선 경유 경의선 급행: 문산-용산 구간 급행 운행, 이후 중앙선(용산 동쪽) 일반 열차 운행.
- 중앙선 급행: 용문-용산 구간 급행 운행, 이후 경의선(용산 서쪽) 일반 열차 운행.
4. 역 목록
2014년 12월 27일 용산선 공덕~용산 구간이 개통되면서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하나의 운행 계통으로 통합되어, 야당역과 효창공원앞역을 제외하고 상호 직결 운행이 가능하게 되었다.[7] 이후 2015년 10월 31일에는 야당역이, 2016년 4월 30일에는 효창공원앞역이 개통되었다.
2016년 5월 16일부터 7월 15일까지 서울역 북부 선로개량공사로 인해 서울역 착발 열차가 하루 왕복 12회(평일 출근시간대 한정)를 제외하고 신촌역으로 운행 구간이 단축되었다. 2017년 11월 24일부터 11월 27일까지는 경의선 서울역 역사 이전으로 영업이 일시 중단되어 신촌역으로 운행 구간이 단축되었다가, 11월 28일 서울역 승강장이 구역사(문화역서울 284)로 이전하면서 영업이 재개되었다.
2017년 1월 21일에는 중앙선 용문~지평 구간이 개통되었다.[7]
2020년 3월 28일에는 문산~임진강 구간이, 2021년 12월 11일에는 임진강~도라산 구간이 개통되었다. 그러나 2022년 2월 12일 임진강~도라산 구간 운행이 중지되었다가, 2024년 8월 9일 운행이 재개될 예정이다.
2022년 12월 17일에는 운천역이 개통되었고, 2023년 11월 21일에는 화전역이 한국항공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 ●: 급행 정차
- |: 급행 미정차
- ▲: 급행 일부 정차
- 연두색: 수도권 전철 서해선 공용 구간
- 청록색: 수도권 전철 경춘선 공용 구간
역 번호 |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급행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소재지 | |
---|---|---|---|---|---|---|---|---|---|
K335 | 문산 | Munsan | 文山 | ● | (도라산, 임진강 방면) | - | 0.0 | 경기도 | 파주시 |
K334 | 파주 (두원대학) | Paju (Doowon Univ.) | 坡州 (斗元大學) | | | 4.4 | 4.4 | |||
K333 | 월롱 (서영대학교) | Wollong (Seyoung Univ.) | 月籠 (瑞永大學校) | | | 2.2 | 6.6 | |||
K331 | 금촌 | Geumchon | 金村 | ● | 4.1 | 10.7 | |||
K330 | 금릉 | Geumneung | 金陵 | ▲ | 2.1 | 12.8 | |||
K329 | 운정 | Unjeong | 雲井 | ● | 3.1 | 15.9 | |||
K328 | 야당 | Yadang | 野塘 | ● | 2.1 | 18.0 | |||
K327 | 탄현 | Tanhyeon | 炭峴 | ● | 1.5 | 19.5 | 고양시 | ||
K326 | 일산 | Ilsan | 一山 | ● | 1.7 | 21.2 | |||
K325 | 풍산 | Pungsan | 楓山 | | | 1.9 | 23.1 | |||
K324 | 백마 | Baengma | 白馬 | ● | 1.7 | 24.8 | |||
K323 | 곡산 | Goksan | 谷山 | | | 1.6 | 26.4 | |||
K322 | 대곡 | Daegok | 大谷 | ● | 교외선 | 1.7 | 28.1 | ||
K321 | 능곡 | Neunggok | 陵谷 | | | 1.8 | 29.9 | |||
K320 | 행신 | Haengsin | 幸信 | ● | 1.5 | 31.4 | |||
K319 | 강매 | Gangmae | 江梅 | | | 0.9 | 32.3 | |||
K318 | 한국항공대 | Korea Aerospace Univ. | 韓國航空大 | | | 2.5 | 34.8 | |||
K317 | 수색 | Susaek | 水色 | | | 3.4 | 38.2 | 서울특별시 | 은평구 | |
K316 | 디지털미디어시티 | Digital Media City | 디지털미디어시티 | ● | 공항철도 | 0.6 | 38.8 | ||
K315 | 가좌 | Gajwa | 加佐 | ● | (용문, 지평 방면) | 1.7 | 40.5 | 마포구 | |
P314 | 신촌 | Sinchon | 新村 | ● | 7.7 | 48.2 | 서대문구 | ||
P313 | 서울역 | Seoul Station | 서울驛 | ● | 경부선 | 9.1 | 51.3 | 중구 | |
역번호 |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급행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소재지 | ||
---|---|---|---|---|---|---|---|---|---|---|
↑ 경원선 이촌역 방면 | ||||||||||
K110 | 용산 | Yongsan | 龍山 | ● | 경부선 경원선 | 0.0 | 0.0 | 서울특별시 | 용산구 | |
K311 | 효창공원앞 | Hyochang Park | 孝昌公園앞 | | | 1.5 | 1.5 | ||||
K312 | 공덕 | Gongdeok | 孔德 | ● | 1.0 | 2.5 | 마포구 | |||
K313 | 서강대 | Sogang Univ. | 西江大 | | | 1.9 | 4.4 | ||||
K314 | 홍대입구 | Hongik Univ. | 弘大入口 | ● | 0.9 | 5.3 | ||||
K315 | 가좌 | Gajwa | 加佐 | ● | (문산 방면) | 1.7 | 7.0 | 서대문구 | ||
↓ 경의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방면 |
역 번호 | 역 이름 | 역 이름 | 역 이름 | GY | GS | J | 환승 | 거리 | 총 거리 | 위치 | |||
---|---|---|---|---|---|---|---|---|---|---|---|---|---|
K335 | 문산 | 문산한국어 | 文山 | ● | ● | 모든 역 정차 | (임진강행 셔틀) | --- | 0.0 | 경기도 | 파주시 | ||
K334 | 파주 | 파주한국어 두원대학한국어 | 坡州 (斗源大學) | | | | | colspan="3"| | 4.4 | 4.4 | |||||
K333 | 월롱 | 월롱한국어 | 月籠 | | | | | colspan="3"| | 2.2 | 6.6 | |||||
K331 | 금촌 | 금촌한국어 | 金村 | ● | ● | colspan="3"| | 4.1 | 10.7 | |||||
K330 | 금릉 | 금릉한국어 | 金陵 | ● | | | colspan="3"| | 2.1 | 12.8 | |||||
K329 | 운정 | 운정한국어 | 雲井 | ● | ● | colspan="3"| | 3.1 | 15.9 | |||||
K328 | 야당 | 야당한국어 | 野塘 | ● | ● | colspan="3"| | 1.5 | 17.4 | |||||
K327 | 탄현 | 탄현한국어 | 炭峴 | ● | ● | colspan="3"| | 2.1 | 19.5 | 고양시 일산서구 | ||||
K326 | 일산 | 일산한국어 | 一山 | ● | ● | '서해선' (공용) | 1.7 | 21.2 | |||||
K325 | 풍산 | 풍산한국어 | 楓山 | | | | | 1.9 | 23.1 | 고양시 일산동구 | |||||
K324 | 백마 | 백마한국어 | 白馬 | ● | ● | 1.7 | 24.8 | ||||||
K323 | 곡산 | 곡산한국어 | 谷山 | | | | | 1.5 | 26.3 | ||||||
K322 | 대곡 | 대곡한국어 | 大谷 | ● | ● | 3호선 | 1.8 | 28.1 | 고양시 덕양구 | ||||
K321 | 능곡 | 능곡한국어 | 陵谷 | | | | | colspan = "3" | | 1.8 | 29.9 | |||||
K320 | 행신 | 행신한국어 | 幸信 | ● | ● | KTX | 1.5 | 31.4 | |||||
K319 | 강매 | 강매한국어 | 江梅 | | | | | colspan = "3" | | 0.9 | 32.3 | |||||
K318 | 한국항공대 | 한국항공대한국어 | 韓國航空大 | | | | | colspan = "3" | | 2.5 | 34.8 | |||||
K317 | 수색 | 수색한국어 | 水色 | | | | | colspan = "3" | | 3.4 | 38.2 | 서울특별시 | 은평구 | |||
K316 | 디지털미디어시티 | 디지털미디어시티한국어 | 디지털미디어시티 | ● | ● | 6호선 | 0.6 | 38.8 | |||||
K315 | 가좌 | 가좌한국어 | 加佐 | ● | ● | (서울역 방면) | 1.7 | 40.5 | 서대문구 | ||||
K314 | 홍대입구 | 홍대입구한국어 | 弘大入口 | ● | 무정차 | 2호선 | 1.7 | 42.2 | 마포구 | ||||
K313 | 서강대 | 서강대한국어 | 西江大 | | | colspan = "3" | | 0.9 | 43.1 | ||||||
K312 | 공덕 | 공덕한국어 | 孔德 | ● | 5호선, 6호선 | 1.9 | 45.0 | ||||||
K311 | 효창공원앞 | 효창공원앞한국어 | 孝昌公園앞 | | | 6호선 | 0.7 | 45.7 | 용산구 | |||||
K110 | 용산 | 용산한국어 | 龍山 | ● | ● | 1호선 무궁화호, 새마을호, ITX-새마을 운행 KTX | 1.8 | 47.5 | |||||
K111 | 이촌 | 이촌한국어 | 二村 | ● | 4호선 | 1.9 | 49.4 | ||||||
K112 | 서빙고 | 서빙고한국어 | 西氷庫 | | | colspan = "3" | | 1.7 | 51.1 | ||||||
K113 | 한남 | 한남한국어 | 漢南 | | | colspan = "3" | | 1.9 | 53.0 | ||||||
K114 | 옥수 | 옥수한국어 | 玉水 | ● | 3호선 | 1.6 | 54.6 | 성동구 | |||||
K115 | 응봉 | 응봉한국어 | 鷹峰 | | | colspan = "3" | | 1.8 | 56.4 | ||||||
K116 | 왕십리 | 왕십리한국어 | 往十里 | ● | 2호선, 5호선, 수인분당선 | 1.4 | 57.8 | ||||||
K117 | 청량리 | 청량리한국어 | 淸凉里 | ● | 경춘선 | 1호선, 경춘선, 수인분당선 무궁화호, ITX-새마을, 누리로 운행 KTX | 2.4 | 60.2 | 동대문구 | ||||
K118 | 회기 | 회기한국어 | 回基 | ● | 1호선 | 1.4 | 61.6 | ||||||
K119 | 중랑 | 중랑한국어 | 中浪 | | | 1.8 | 63.4 | 중랑구 | ||||||
K120 | 상봉 | 상봉한국어 | 上鳳 | ● | 7호선, 경춘선 KTX (일부 운행) | 0.8 | 64.2 | ||||||
K121 | 망우 | 망우한국어 | 忘憂 | | | 경춘선 | 0.6 | 64.8 | ||||||
K122 | 양원 | 양원한국어 | 養源 | | | colspan = "3" | | 1.7 | 66.5 | ||||||
K123 | 구리 | 구리한국어 | 九里 | ● | colspan = "3" | | 3.2 | 69.7 | 경기도 | 구리시 | ||||
K124 | 도농 | 도농한국어 | 陶農 | ● | colspan = "3" | | 1.7 | 71.4 | 남양주시 | |||||
K125 | 양정 | 양정한국어 | 養正 | | | colspan = "3" | | 3.7 | 75.1 | ||||||
K126 | 덕소 | 덕소한국어 | 德沼 | ● | 무궁화호 운행 (일부 운행) KTX (일부 운행) | 2.3 | 77.4 | ||||||
K127 | 도심 | 도심한국어 | 陶深 | ● | colspan = "3" | | 1.5 | 78.9 | ||||||
K128 | 팔당 | 팔당한국어 | 八堂 | | | colspan = "3" | | 4.2 | 83.1 | ||||||
K129 | 운길산 | 운길산한국어 | 雲吉山 | | | colspan = "3" | | 6.4 | 89.5 | 양평군 | |||||
K130 | 양수 | 양수한국어 | 兩水 | ● | colspan = "3" | | 1.9 | 91.4 | ||||||
K131 | 신원 | 신원한국어 | 新院 | | | colspan = "3" | | 4.7 | 96.1 | ||||||
K132 | 국수 | 국수한국어 | 菊秀 | | | colspan = "3" | | 2.9 | 99.0 | ||||||
K133 | 아신 | 아신한국어 | 我新 | | | colspan = "3" | | 4.1 | 103.1 | ||||||
K134 | 오빈 | 오빈한국어 | 梧濱 | | | colspan = "3" | | 2.8 | 105.9 | ||||||
K135 | 양평 | 양평한국어 | 楊平 | ● | 무궁화호 운행 KTX (일부 운행) | 2.5 | 108.4 | ||||||
K136 | 원덕 | 원덕한국어 | 元德 | | | colspan = "3" | | 6.1 | 114.5 | ||||||
K137 | 용문 | 용문한국어 | 龍門 | ● | 무궁화호 운행 (일부 운행) | 5.6 | 119.1 | ||||||
K138 | 지평 | 지평한국어 | 砥平 | 무정차 | 무정차 | 무궁화호 운행 (일부 운행) | 3.6 | 122.7 |
역 번호 | 역 이름 | 역 이름 | 역 이름 | 도라산-임진강 셔틀 | 문산-임진강 셔틀 | 환승 | 거리 | 총 거리 | 위치 | |
---|---|---|---|---|---|---|---|---|---|---|
K338 | 도라산 | 도라산한국어 | 都羅山 | ● | --- | -9.8 | 경기도 | 파주시 | ||
K337 | 임진강 | 임진강한국어 | 臨津江 | ● | ● | 3.7 | -6.0 | |||
K336 | 운천 | 운천한국어 | 雲泉 | align=center | | ● | 2.3 | -3.7 | |||
K335 | 문산 | 문산한국어 | 文山 | align=center | | ● | (본선) | 3.7 | 0.0 | ||
4. 1. 경의선 계통
두원대학한국어(斗源大學)
(공용)